
이타주의자의 시대 (유럽 필란트로피의 뿌리와 현대적 재발견)
저자: 테오 슈이츠
출판사: 경향신문사출판국
출간일: 20170410
소개: 유럽 필란트로피의 뿌리와 현대적 재발견 - 이타주의자의 시대 이 책은 네덜란드 아데시움재단으로부터 제작비의 일부를 지원받아 출판되었다. 한국어판은 전성배, 정온주 부부가 자녀 예지, 예진, 예린, 예준 4남매의 이름으로 아름다운재단에 조성한 [지진린준의겨자씨기금]을 통해 출판되었다. 저자는 서론에서 ‘20년간 필란트로피를 연구하면서 생산적인 토론과 공동 연구에 참여 할 기회가 많이 있었고, 그 경험의 결과가 이 책에 반영되어 있다.’며‘필란트로피를 온전히 이해하고 있는 것은 아직은 소수의 연구자들뿐’으로‘이 책을 통해 필란트로피를 알리고자 한다고 밝히고 있다. 이 책은 필란트로피의 출현에서부터 목표, 척도, 사회적 구조는 물론 루만, 미쉬라 등 학자들의 견해와 사례까지도 담아 현대적이고 글로벌한 필란트로피의 정의를 밝히고 있다. 기부 문화에 대한 가장 근원적인 해답을 알려 줄 책이다. 일반적인 의미에서 필란트로피는 타인과 인류에 대한 사랑을 나타낸다.
읽는 이의 마음을 울리는 이타주의자의 시대 (유럽 필란트로피의 뿌리와 현대적 재발견), 강력 추천합니다.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인간의 선량함, 그 지속가능성에 대한 뇌과학자의 질문)
저자: 김학진
출판사: 갈매나무
출간일: 20220124
소개: ‘선량함’은 노력일까, 충동일까? 인간 이타성을 탐구하는 뇌과학자의 새로운 해석 칭찬에 중독된 뇌에서 빠져나와 스스로 성찰하고 행동하는 이타주의자가 되기까지 21세기 뇌과학의 가장 중요한 질문인 ‘인간의 사회성’에 정면 도전하며, 이타주의의 확장 가능 성을 탐색한 뇌과학자의 분투가 여기 있다. 사회신경과학자인 고려대 심리학과 김학진 교수는 이 책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에서 인간이 이타적 행동을 하는 심리적 동기 근원에는 타인의 호감이나 인정을 얻고자 하는 ‘보상 추구 동기’가 있다고 말한다. 공감과 공정성처럼 인간의 따뜻 한 본성이라 여겨온 심리 또한 뇌의 ‘생존 전략’과 연결 지어 설명한다. 저자의 이런 주장이 일순 불쾌하게 느껴질 수도 있다. 그러나 생각해보자. 사회 구성원을 향한 개인의 이타적 행동이 그의 생존 가치를 높여주는 중요한 전략이라면, 즉 인간의 뇌가 살아남기 위해 선택한 가장 유리한 가치가 이타성이라면, 이 ‘인정 욕구’를 건강하고 합리적인 방향으로 발 전시켜 이타적인 사회와 연결할 수도 있지 않을까? ‘인간이 이타주의를 선택하는 뇌의 작동 원리’를 분석해 큰 주목을 받았던 《이타주의자의 은밀 한 뇌구조》가 5년 만에 개정증보판으로 독자들을 다시 만난다. 인간의 공감과 이타성에 관하여 새로 발표된 더 많은 뇌과학적 증거들을 찾아 보완했고,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더 많은 사례 를 추가했으며, 읽기 쉽도록 문장을 다듬었다. 독자가 이 책을 통해 선량한 사람의 본심에 실망하 는 염세적인 태도를 얻기보다 더 나은 세상을 향한 현실적인 방안을 고민하는 데 도움받기를 바 란다는 당부도 덧붙였다. 인정 욕구에 빠진 인간의 어두운 민낯뿐 아니라 타인의 호감을 구하는 동기가 이뤄낼 수 있는 위대한 결과까지, 이 책을 통해 만날 수 있을 것이다.
세상을 바라보는 새로운 시각을 열어주는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인간의 선량함, 그 지속가능성에 대한 뇌과학자의 질문), 읽어보면 후회하지 않을 겁니다.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뇌과학, 착한 사람의 본심을 말하다)
저자: 김학진
출판사: 갈매나무
출간일: 20170525
소개: 이타주의자들의 본심을 뇌과학으로 살피다!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의 저자 김학진 교수는 이 책에서 인정 욕구가 이타적 동기의 근원에 있다는 새로운 해석을 제시한다. 흔히 선의에서 비롯된다 여겼던 이타적인 행동을 뇌의 생존 전략과 연결 지어 설명하는 것이다. 저자는 사회 구성원들을 향한 이타적 행동은 개인의 생존 가치를 높여주는 중요한 전략이 될 수도 있다고 말한다. 뇌과학을 통해 이타주의를 새롭게 해석하는 이 책은 인간의 도덕적 직관 능력이 가진 성장 가능성을 탐색한다.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은 1부에서 남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욕구 인정 욕구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가 남들 눈치를 보며 선택을 내리는 심리와 인정 욕구에 대해 집중적으로 알아본다. 2부에서는 나 자신보다 타인을 먼저 생각하는 이타적 동기의 이면을 뇌과학적 관점에서 파헤쳐본다. 의사결정과 관련된 다양한 뇌 구조에 대한 설명과 뇌의 생존 전략이라는 관점의 이타주의를 바라본다. 마지막 3부에서 저자는 독자들에게 합리적 이타주의자가 되길 권한다. 인정 욕구를 건강하고 합리적인 이타주의로 발전시키는 방법을 소개한다.
이타주의자의 은밀한 뇌구조 (뇌과학, 착한 사람의 본심을 말하다)은(는) 누구에게나 쉽게 이해되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